남한산성을 영화로 만들어서 세상 사람들에게 잊혀 가는 역사적 진실을 배경으로 한 이야기를 담고 있었다. 원작은 김훈의 소설이 바탕이 되었고 황동혁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던 영화로 인상 깊게 다가왔었다. 이 영화의 배경이 남한산성을 이야기를 하고 있어 어디에 있을까 찾아봤더니 경기도 광주시에 있는 남한산성이라고 한다.
조선의 수도인 한양을 지키는 성으로 아려져 오랑캐의 침략에 큰 역할을 해주었던 산성으로 알려졌지만, 역사에 남을 치욕적 상징이 되고 만 사건을 영화로 재현되었다. 그 당시 조선은 명나라를 섬기고 있었으나, 청나라의 무리한 조건을 들어주지 않자 청나라에 왕자를 보내어 사죄하라고 명한다. 이것을 들어주지 않자 청의 태종 황태극이 12만 명의 군사를 이끌고 조선을 침략한 사건을 기록하고 있다. 그래서 이 영화는 우리가 생각하는 전쟁의 비참함을 아주 생생하게 말해주고 있으며, 전쟁으로 인해서 피해를 입고 고생하는 것은 평민과 사대부의 결정권으로 나라의 운명이 달라졌음을 알게 된다.
줄거리: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게 된다. 명나라가 조선을 침략하게 되었고 피난길을 나선 인조(박해일)가 강화도로 가려했으나 그 길마저 차단이 되자 남한산성에 머물게 된다. 이곳의 충신 최명길과 김상헌이 있었는데, 그들의 생각이 각기 달랐다. 이조판서 최명길(이병헌)은 굴욕적이지만 청나라가 요청하는 대로 요구를 들어 주자는 역적 발언을 한 사람으로 낙인이 찍히고 만다.
최명길이 청나라의 장군을 독대하면서 사태의 심각성을 파악했고 온 백성과 왕이 살길은 그들이 요구하는 조건을 들어줘야 한다는 것이었다. 화면 가득 최명길의 고뇌와 백성을 생각하는 마음 그리고 어떻게 해야 신화된 도리를 다 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게 된다. 하지만 결국 자신의 왕이 삼전도의 굴욕을 맞이 하게 되는 비극으로 이끌고 만다.
예조판서 김상헌(김윤석)은 오랑캐를 절대 받아 드릴 수 없는 입장으로 무력으로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얻고자 나선 그들의 폭행적 행동에 치를 떤다. 왕께 굴복하느니 죽는 것이 낫다고 말하는 충신이었다. 청나라의 무력에 질 수밖에 없었던 조선의 운명은 안타까웠으나, 자신의 힘으로 해낼 수 있었던 일이 없음을 깨닫고 왕이 백기를 들고나간 그날에 칼로 찔러 스스로 목숨을 끊게 된다.
영화를 본 소감은 시대극이지만, 현실의 연관 고리를 찾는 다면 백성을 위한 올바른 선택과 그들을 위한 진정한 일이 무엇인가를 고민해보게 된다. 백성을 살릴 수 있다면 적의 오랑캐라도 몇 번 고개 숙이는 것이 대수냐는 말이 인상 깊게 다가왔다. 오늘날 이렇게 굴욕을 참으면서 백성을 위해서 나설 정치인과 대통령이 있을지 의문이다. 다 자기 밥그릇 찾기 바쁜 세상이라는 사실이 가슴 아프게 다가온다.
남한산성(南漢山城)은 대한민국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에 있는 남한산을 중심으로 하는 산성이며 경기도의 도립공원이다.(위키글 인용)